책소개
인기 작가와 작품을 분석하고 학문적 체계를 구축해 나갑니다.
<만화·웹툰이론총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만화·웹툰 이론화를 시도한 국내 최초의 기획
만화와 웹툰, 애니메이션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고 싶은 독자에게 드리는 기초 이론서입니다. 장르론, 장르사, 기술론, 산업론, 작가론 등 만화·웹툰 전 분야에 걸쳐 주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의 권위 있는 전문가들이 기초 개념을 중심으로 엮어 만화·웹툰의 학문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커뮤니케이션북스와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가 함께하는 <만화·웹툰이론총서>와 <만화·웹툰작가평론선>은 각각 2017년 20종을 시작으로 2018년 10종, 2019년 10종, 2020년 10종씩 출간됩니다.
만화·웹툰학의 기본 개념을 키워드 열 개로 정리
대학 교수와 연구소 연구자들이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기초 이론과 유명 작가들에 대한 작가론을 100여 쪽으로 정리했습니다. 각 이론과 작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키워드 열 개를 선정해 해설했습니다. 주제와 필요에 따라 시리즈 전체를 아이템 유닛 기준으로 분해하고 재조합할 수 있습니다. 만화·웹툰에 학문적으로 접근하려는 독자들에게 좋은 교재가 됩니다.
200자평
세계 만화 시장은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빠른 속도의 인터넷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디지털 만화인 웹툰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에 따라 웹툰을 포함한 스낵컬처의 수요도 급증하는 추세다. 국내 시장은 출판 만화와 웹툰으로 양질의 작품을 전 연령대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는 한국 웹툰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웹툰 시장의 중요성이 가시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웹툰의 질적 향상과 가치 상승을 위한 심층 연구는 꼭 필요하다. 웹툰 역시 만화이기에 글과 그림의 표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만화가 아니라 웹툰이기에 가지는 여러 가지 특징들이 있다. 이를 차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해 보여 주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자 힘이다.
지은이
이승진
경기대학교 교양학부(디지털 콘텐츠 관련 분야) 교수다. 세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학부, 석사·박사를 졸업하고 2013년 논문 “웹툰 원작활용의 가치측정연구ᐨ‘웹툰 연계지수’를 중심으로”로 예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내외에서 다수의 만화, 웹툰, 애니메이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2013년 ‘컷 스틸러 – 칸을 훔치는 사람들’(만화 원화 전시)을 기획·진행했으며, 2014년부터 2017년 현재까지 한국콘텐츠진흥원 창의인재 동반사업 ‘융합멘토링을 통한 맞춤형 웹툰 전문가 양성’의 멘토로 참여해 웹툰 프로 작가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의 만화포럼 위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ASKO) 총무이사 겸 편집위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KOSCAS)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애니메이션 서바이벌 키트(증보판)』(공역, 2013), 『살아있는 표정 그리기 FACE』(공역, 2010), 『스토리가 강해지는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기획에서 프레젠테이션까지』(공역, 2009) 등을 번역했고 현재 서비스 중인 네이버 지식백과(애니메이션백과)를 집필했다.
차례
01 웹툰 그리고 원초적 본능
02 웹툰의 일상성
03 웹툰과 휴머니즘
04 웹툰과 데페이즈망
05 대지 미술과 무한 캔버스
06 웹툰과 팝아트
07 웹툰의 과장과 변형
08 웹툰의 차용과 표현
09 웹툰 속 반려동물
10 웹툰의 무한 가능성
목록
<만화·웹툰이론총서>
가상 콘텐츠와 에듀테인먼트 / 유해영
공공 캐릭터 / 류유희
그래픽 노블 / 이기진
슈퍼 빌런 / 이선영
스핀오프 / 강은원
애니메이션 기술론 / 김효용
애니메이션 미학과 연출론 / 이상원
애니메이션 스튜디어의 영웅 메커니즘 / 이혜원
애니메이션 영상 미학 / 류재형
웹툰 열 가지로 보기 / 이승진
웹툰 콘텐츠 플랫폼 / 박석환
웹툰 퍼포먼스와 독자의 즐거움 / 홍난지
웹툰,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가능성 / 박기수
웹툰의 매체 전환 / 채희상
인 게임 애니메이션의 기능과 콘텐츠 확장 / 이선영
중국 만화의 역사 / 석향란
크라우드소싱 웹툰 스토리텔링 / 황선태
키덜트 캐릭터 / 백란이
한국 TV 애니메이션의 역사 / 황선길
VR 영상 콘텐츠 / 김상일, 유미, 김광집
<만화·웹툰작가평론선>
강도하 / 박기수
강풀 / 이승진
고우영 / 김봉석
김동화 / 김성훈
김진 / 김소원
김혜린 / 한상정
네온비 / 김은정
무적핑크 / 김소원
박기정 / 서은영
양영순 / 이기진
윤태호 / 박기수
이두호 / 박인하
이말년 / 홍난지
이상무 / 박석환·김성훈
이현세 / 박인하
조석 / 김성훈
주호민 / 서은영
하일권 / 한상정
허영만 / 박석환
황미나 / 이기진
만화·웹툰총서는 계속됩니다.
책속으로
죽음은 그 누구도 겪어 보지 못한 환상 속의 실체이며 누구나 꼭 겪어야 할 일이기에, 그 누구라도 끊임없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지역, 문화, 종교와 상관없이 죽음에 관한 문제는 우리에게 크게 다가온다. 죽음의 문제는 언제나 삶의 문제와 함께 우리 주변에 있다. ‘죽음은 무엇인가’, ‘죽음 다음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학, 철학, 예술뿐만 아니라 우리 주변 모든 곳에서 끊임없이 제기되는 질문 중 하나다.
‘웹툰의 일상성’ 중에서
정필원 작가의 <패밀리맨>은 가족의 사랑, 자식을 향한 아버지의 아낌없는 사랑, 끈끈한 동료애, 게다가 산업재해에 대한 사회적 이슈까지 다룬 작품이다. 아빠의 실직과 약간의 장애를 가진 아들, 하염없는 가난 속 가족의 절실한 사랑을 보여 준 작품이다. 가족을 너무나 그리워하는 아빠는 구구맨으로 아이들에게 다가간다. 아빠가 모든 것을 해 줄 수 있다는, 아니 해 주고 싶은 아빠의 욕망을 히어로를 통해 보여 준다. 자식들에게 히어로가 되고픈 것은 아마도 이 시대 모든 아빠의 로망이 아닐까.
‘웹툰과 휴머니즘’ 중에서
어스 워크(Earth Work), 프로세스 아트(Process Art)라고도 하는 대지 미술(Land Art)은 1967년 미국에서 처음 탄생한 운동으로 1960년대 후반 영국, 독일 특히 미국에서 성행했다. 대지 미술이 등장한 1960∼1970년대의 미국은 급진적인 변화를 겪은 시기로 미술에서도 다변화된 양상을 보인다. 사회적, 정치적 구조에 불만을 품은 작가들은 급진적이고 정치적인 분위기 아래, 소비되는 미술보다는 이해되는 미술에 대한 욕구를 느끼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예술의 후원자인 미술관과 부유한 수집가 그리고 극도로 상업화된 미술 시장에 반감을 가졌다.
‘대지 미술과 무한 캔버스’ 중에서